건강하게 살기

반응형

최저임금은 매년마다 오르고 있는데 직장인들의 경우 연봉이 그렇게 많이 오르고 있지 않는것 같습니다. 매년 연봉인상이 되는 회사는그나마 대기업과 공무원들이나 적용이 되는것 같고 일반소규모의 기업들의 경우 동결되는 부분이 많이 있는것 같습니다.


어느정도의 연봉을 받으면 편하게 직장생활을 할수 있을까요? 우리가 받는 급여에는 각종 세금이 제외대기 때문에 근로자들의 경우 실수령액이 더욱더 중요하게 생각을 하게되는데 2019 연봉실수령액 계산기를 통하여 연봉별로 계산을 해보 았습니다.



2019 연봉실수령액 계산기


자신의 연봉이 높아지는 만큼 과연 실수령액은 어느정도 되는지 한번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꿈의 연봉인 1억이 된다면 과연 실수령액은 어느정도 인지 궁금하지 않나요? 그래서 월급 1000만원 부터 300만원까지의 계산을 해보았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우선 가장먼저 월 500만원 정도의 4대보험 근로자 입니다. 500만원이면 3~4인 가족이 살아가는데 어느정도 안정적이락 할수있죠. 하지만 돈은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서 모일수도 있고 사라져 버릴수도 있기 때문에 돈의 씀씀이가 가장 중요한것 같습니다.




2019 연봉실수령액 계산기는 사람인사이트에서 사용할수가 있는데 한가지 주의해야 할점은 연봉에 퇴직금이 포함되어 있는지 아니면 불포함인지의 여부가 가장 중요하답니다.


사업주 측에서는 퇴직금을 포함한 연봉으로 계약을 하는경우가 많은데 그러한 이유는 실제 지급받는 월급여는 적어지고 전체 연봉은 커보이기 때문에 연봉계약시 퇴직금을 포함하는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500만원의 급여역시 퇴직금 포함이냐 불포함이냐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게 됩니다.




먼저 퇴직금 별도로 계산을 해보면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를 초함한 공제액 합계가 늘어나게 됩니다(별도계산보다) 그이유는 퇴직금이 포함이 안되어 있어서 그렇다고 할수있죠. 퇴직금이 포함된다면 퇴직금은 월기본급여 인만큼 연봉을 13으로 나누게 되어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월급여가 줄어들면서 당연히 그에따른 각종 세금또한 줄어들게 되는것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연봉계약을 할때 신경써야 할 부분자체가 바로 퇴직금의 포함 여부인데요~ 퇴직금은 연봉에 포함시키지 않는것이 근로자에게는 더 이득이라는점 이점은 곡 알고 계시길 바랍니다.


보편적으로 퇴직금을 월급에 포함하는 기업이 많기때문에 월소득 천만원 기준부터 700만원까지의 실수령액을 확인해보니 여러세금을 제외하고 나면 실수령액이 많이 줄어드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월 600만원 부터 300만원 까지만 살펴보더라도 월급 600만원 인 사람의 실수령액이 462만원 , 500만원의 경우 388만원, 400만원의 경우 319만원, 300만원의 경우 245만원정도가 된다고 할수 있습니다.




물론 지금까지의 계산은 부양가족이 자신 혼자인경우와 자녀가 없다는 가정하에 계산한것인데 부양가족이 늘어나고 자녀가 있는경우 세금감면의 혜택을 받을수 있는데 그 금액이 크지는 않습니다.




근로자로 오랜기간 일을하면서 안정적인 직장생활을 할수 있는것 만으로도 물론 다행이라고 생각을 하지만, 4대보험료를 역시나 무시할수 없다는 생각이 드는것 같습니다. 실수령액이 525만원 정도 되려면 월급이 700정도는 되어야 하는데 사실 이러한 금액이 엄청크다는것은 이글을 읽는 분들또한 알고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기업에서 퇴사하는 은퇴시기는 점점 빨라지면서 수명의 증가로 인하여 오랜시간동안 일자리는 필요한대 급여의 상승폭은 높지 않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자신의 일을 하려고 자영업 전선에 뛰어들고는 있지만 그마저도 쉽지않은것이 현실인것 같습니다.




준비없는 창업은 오히려 가정을 더욱더 힘들게 할수도 있기때문에 충분한 고려와 생각을 하고 제2의 인생준비도 하실것을 권유드리면서 본인이 직접 연봉계산기를 통하여 계산하고 싶은 분들은 사람인 연봉계산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2019 연봉실수령액 계산기에대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